화학적측면

화학적 측면 이라함은 우리가 먹고 마시는 모든 식음료가 우리의 건강과 삶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면 영양소이고, 해가 되면 스트레스로 작용한다는 말이다. 대부분 우리가 먹는 먹거리가 우리의 삶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것들이지만 현대사회가 되면서 보다 많은 식품들이 대량생산의 목적으로 생산되면서 필수 미네랄들이 모자라거나 유전자 변이를 시켜 우리 몸에서 분해효소가 없는 분자구조를 가진 식품들이 계속 만들어져 우리 몸에 영양분을 공급하기보단 분해가 되지 않아 장내에 우리 몸에 좋은 균들도 배설해버리고 나쁜 균들이 더 증가되는 Dysbiosis 를 만들어내고 독소를 증가시키는 나쁜 환경을 만들어내고 이 독소는 주로 입냄새와 혀의 백태로 나타나 우리 치과의사들을 괴롭힌다. 이러한 독소를 만들어내는 음식으로는 주로 술, 담배, 밀가루, 설탕, 우유, 커피, 조미료, 가공식품 등이 있습니다.술은 설탕보다 더 빨리 혈당을 증가시키므로 순간적으로 인슐린 분비가 높아져 저혈당도 급격히 생긴다. 또 지방 축적으로 만성으로 부신기능이 저하되고 면역력도 저하된다. 그래서 지방, 불포화 기름과 함께 복용하면 흡수가 덜 된다. 술안주가 좋아야 된다는 이야기이기도하다. 그러나 전두엽 기능을 저하시켜 기억력, 판단력, 인지능력, 감정조절을 저하시켜 취한 모습을 보이게 만들고, 소뇌와 전정기능이 저하되는 이유는 반고리관에 알코올과 림프액이 섞여 농도차이가 생기면서 어지럼증이 생겨 빙빙 돌게 된다. 또한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Serotonin과 GABA 가 많이 분비되어 일시적인 편안감과 자신감 그리고 항불안감이 생겨 기분은 좋으나 곧 전신무력감, 수면현상이 쏟아져 중독현상을 경험하게 된다. 영양학적으로는 Vitamin B 결핍을 유도하며 특히 비타민 B1(Thiamine)의 부족으로 가슴이 답답하거나 Tarchycardia, 불안, 우울, 꿈 등으로, 아침에 잘 못 일어나고 결국엔 뇌질환까지 야기할 수 있다. 또 비타민 B6 (Pyridoxine)의 부족으로 간의 해독과 정화작용을 억제하여 피부가 검게되고 만성피로, 위장병, 알레르기, 만성통증 등이 발전하여 간염이나 간경변을 일으키기도 한다. 구강내에서는 구내염과 치은 출혈 등이 면역력 저하로 나타난다. 담배의 니코틴은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Acetylcholine을 일시적으로 상승시켜 기억력과 집중력을 증가시키므로 불안하고 초조한 사람들에게 중독성을 갖게 해 준다. 또한 Dopamin과 Glutamic acid도 분비되어 학습력과 기억력을 증진시키고, Endorphin을 기분을 좋게 하고 자신감을 충만케 해주지만, 장기적으로 신경을 흥분시키고 혈관을 수축하여 피부가 까칠해진다. 담배의 400 여종의 독성 화학물질의 중금속들은 간의 해독능력과 심혈관 기능을 저하시키므로 잇몸혈관들에 산소공급을 원활히 하지 못해 잇몸병과 plaque 부착, 치아동요를 일으키는 주범이 된다. 이러한 담배의 발암물질은 금연 후에도 10개월간은 인체에 잔류한다. 밀가루 속의 주성분인 Gluten은 어원상 Glue라는 그리스말에서 나왔듯이 탄력성이 있어 밀가루 반죽을 쫄깃하게 하고, 빵을 가볍고 폭신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지만, 물에 용해되어 풀어지지 않는 불용성 단백질이다. 우리 몸 속에 들어오면 요오드, 단백질, 비타민 A, D와 마그네슘에 결합되어 이들 영양소의 결핍을 야기시키고, 장누수 등 결국에는 갑상선 질환을 일으켜 전신의 통증과 피곤함 등을 야기시킨다. 우리 치과의사에게는 lichen planus, Aphthous Ulcer, Enamel Defects와 같은 구강 질환으로 잘 나타나며 이 역시 부신의 기능저하로 인한 면역 결핍 현상이 전신에 나타난다. 또 밀가루는 탄수화물 92&, 단백질 8%로 구성된 고탄수화물 식품으로 당지수(GI)가 높아 혈당을 빠르게 치솟게 하고 살을 찌게 한다. 그리하여 당뇨병을 유발하므로 당뇨병 환자나 비만끼가 있는 사람은 밀가루 섭취량을 특히 제한해야 한다. 밀가루 자체의 당지수는 55로 높은 편은 아니지만, 밀가루 가공식품인 식빵(91), 바게트빵(93), 라면(73), 등은 당지수가 높다. 반면 통밀가루로 만든 통밀빵은 당지수 50으로 낮다. 당지수가 낮은 음식은 체내 흡수가 느리고 천천히 에너지화되어 지방이 저장되는 것을 막고 포만감을 오래도록 느끼게 하지만, 당지수가 높은 식품을 먹으면 당이 인체에서 녹을 때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고 동시에 뇌는 체내에 지방을 저장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명령과 함께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은 곧바로 니슐린을 간으로 보내기 때문에 간에 집중적으로 지방이 저장된다 따라서 당지수가 높은 식품을 자주 섭취하면 지방간 발병률 역시 높아진다.또한 글루텐은 그 자체로 소화가 잘 안되며 글루텐불내증(Intolerance)에 걸리면 피부, 신경계, 면역계, 체력, 관절, 치아를 비롯하여 행동과 기분까지 악영향을 받는다. 불내증이란 영양분이 몸 안에 들어왔을 때 우리 몸이 영양분을 흡수하지 못하고 거부하는 반응이다. 대표적인 글루텐불내증 증상으로 밀가루 음식을 먹을 때마다 설사, 복통, 변비, 복부팽만 등 소화기능 장애가 있다.그래서 밀가루 음식을 유독 좋아하는 사람은 글루텐중독을 의심해 봐야 한다. 밀가루를 섭취하면 글루텐이 장내세균에 의해 ”에소루핀”이라는 마약 성분으로 변한다. 이 성분이 뇌에 작용해 밀가루 음식을 더 먹게 만든다.그래도 밀가루를 끊을 수 없다면, 밀알을 찧지 않고 그대로 갈아 만든 통밀을 먹기를 권한다. 통밀은 미네랄과 비타민B 복합체와 비타민E를 다량 함유하며, 단백질을 만드는 필수아미노산도 들어 있습니다. 정맥 밀가루보단 다소 거칠지만 섬유질이 풍부한 통밀을 선택하고, 파이나 케이크보다는 잡곡빵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 밀가루 구입 시 방부제 첨가 여부를 체크하고, 국내에서 가공한 밀가루를 구입하길 권합니다. 대체식품으로는 탄수화물 식품 중 당지수가 낮은 메밀국수, 호밀빵, 보리 등을 권한다 설탕은 포도당과 과일의 과당의 형태로 주로 우리의 입안에 들어온다. 포도당(Glucose)은 정상 혈당으로 70-120 mg 정도인데, 이상적으로는 77-79 mg 수준에서는 Cheraskin 교수가 충치나 관상동맥 협착증이 없다고 했습니다. 이들은 뇌 에너지의 98-100%를 공급하며, 간과 근육에서는 혈당이 올라가면 췌장의 β-cell 에서 Insulin을 분비하여 간에서는 글리코겐을 축적하고, 혈당이 내려가면 췌장의 α -cell에서 glucagon을 분비하여 글리코겐을 분해하여 glucose를 만들어 혈당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간에서는 포도당을 20% 정도만 대사시키고 또 지방도 합성합니다. 이에 반해 과일 속 과당은 중성지방을 증가시키고, Lower Density Cholesterol로 빨리 가서 아랫배나 허벅지 살의 주원인이 됩니다. 또 요산을 증가시키고 산화질소를 억제하여 안지오텐진을 상승시켜 혈관속 평활근이 긴장되며 혈압이 상승된다. 이떄 요산에 의한 염증세포의 공격을 받으면 협심증, 중풍, 종양 등의 질병이 발생하게 되고 신장기능도 저하시키고, 인슐린 분비를 저하시켜 그렐린(배고픔Hormone)을 억제하지 못하거나 렙틴(포만Hormone) 을 자극하지 못하여 아랫배의 주범이 된다. 과당은 평균 25g/Day 이하로 섭취하도록 권하지만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100g 이상으로 섭취하고 있으니 최소한 안먹으려 노력해야 한다. 옥수수 시럽 과당이 최악의 과당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과당은 간에서 모두 대사시키므로 비알콜성 지방간으로 발전시키며, 간을 혹사시키는 주범이기도 하다.이렇듯 설탕은 오랜 스트레스로 인해 부신기능을 저하시켜 혈당조절 능력이 약해지면 신경질, 과민성 Irritability, 탈진, 어지름증, 떨림, 식은 땀, 우울, 현기증, 졸음 등의 저혈당 증상이 하루에도 여러 번 오게 되므로 다시 식욕이 증가되는 중독성을 가지므로 절대적으로 삼가야하는 식품이다. 구강내에선 당뇨와 연관된 충치, 과민성 치아, 치주조직의 문제들과 턱관절문제 등이 연결된다. 우유는 현대화되면서 많은 여성들이 출산 후 몸매 관리등의 이유와 기본적인 체력저하로 인한 젖 생산능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소우유로 대신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소우유속 단백질의 87%인 카제인은 위장의 소화효소를 파괴하고 분해가 안되어 뇌신경계를 흥분시킨다. 또 미네랄 성분을 파괴하며 우유속 락토즈 당은 혈당을 상승시키며, 지방은 과산화지질로 활성산소 문제를 야기시키는 독성을 가진다. 이렇게 흡수가 되지 않은 우유는 장누수증후군(Leaky Gut Syndrome)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이나 당뇨병을 일으키며, 우유속 칼슘(200-300mg/cup)은 일시적 과다(체내 흡수율 낮음) 현상을 보이며 신경을 흥분시키고, 또 단백질과 포화지방이 많아 빠르게 체외 배출되면서 오히려 장속의 미네랄도 같이 소변으로 배설시키어 알러지, 골다공증, 관절염, 심장병, 암, 치아손상, 복통, 생식기 질환, 면역질환(아토피,우울증, 비만) 등을 야기시킨다. 또, Vitamin B12, B6를 파괴시키므로 소우유보다는 산양유가 더 적은 알러지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그래서 소우유 대신 두유를 선택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는데 콩은 단백질 보충엔 좋으나, 콩속의 피틴산이 미네랄의 장흡수를 방해하고 위의 소화효소를 억제하여 갑상선종을 유발하는 성분이 되기도 하여 그 사람의 체질에 따라 섭취하기를 권한다 Nursing bottle Syndrome 커피의 카페인은 뇌혈관을 수축시켜 뇌 혈류량을 감소시키므로 일시적으로 부신 기능을 항진시켜 컨디션을 좋게 만듭니다만 곧바로 피로감에 젖어들게 합니다. 부신의 아드레날린분비를 촉진시켜 인체를 흥분시키고 심장박동을 빠르게하고, 눈동자를 크게하며, 혈압을 증가시키고, 근육을 긴장시키며 혈당을 증가시킵니다. 또 도파민의 분비도 촉진시켜 자신감과 집중력을 증가시켜 아데노신 수용체를 차단하여 각성상태를 만들어 불면증을 만들어줍니다. 커피(디카페인 커피도 포함)와 초코렛속의 또다른 성분인 테오브로민도 부신을 처음엔 과도하게 자극하나 곧 부신기능저하증을 초래한다. 보다 많은 문제점은 원두커피를 갈아주는 과정속에 커피속 기름이 손상되어 몸속 세포막을 파괴하는 활성산소가 산화와 노화를 촉진한다는 겁니다. 이들이 뇌파 중 알파파(잠파)를 억제하여 수면을 방해하므로 저녁엔 삼가고 평소에 마그네슘, 비타민C, 항산화제 등으로 간의 카페인 해독작용을 도와주는 것이 좋다.체질적으론 태음인들에게 커피 매니아가 많은데 한태음인만 좋고 열태음인에게는 커피가 맞지 않는다… 구강내의 질환으론 부신기능의 저하로 인한 여러 자가면역질환자에게서 볼 수 있었던 잇몸질환의 병소들과 교감신경의 항진으로 인한 구강건조증 등이 야기된다. 글루탐산 일나트륨(monosodium glutamate, MSG)은 가장 풍부한 자연발생 불필수 아미노산인 글루탐산의 나트륨염이다. 미국 식약청은 MSG를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식되는 물질(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로 판단하며, EU는 식품첨가물(food additive)로 다룬다. MSG의 글루타메이트는 다양한 음식에서 같은 감칠 맛을 낸다. 모두 화학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식품제조업체들은 MSG를 화학조미료로 마케팅하고 사용한다. MSG가 다른 맛들에 대한 전체 미각을 균형 있고 조화롭게 해주기 때문이다. MSG의 상표로는 아지노모토(AJI-NO-MOTO®), 베친(Vetsin), 악센트(Ac'cent.) 등이 있다.그 외 인공감미료. 솔비톨은 일반 과즙에서 추출한 것들이고, 만나톨은 천연 해초에서 추출했으며, 사카린은 인공감미료나 설탕보다 300배 단맛을 내는 발암성물질이다. 아스파탐은 인공아미노산으로 천연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타가토오스는 우유 가공 후 남은 폐액으로 유당에서 유도 가공된다.이러한 인공조미료의 MSG 성분은 뇌신경을 파괴시키고 흥분시키는 신경독소로 뇌하수체의 병변으로 비만을 야기시키고, 또한 갑상선 기능을 현저히 저하시킨다. 또한 아스파탐과 같은 인공 감미료는 탄산음료와 Fast Food에 많이 들어있어 MSG와 함께 먹으면 근섬유통(Fibromyalgia), 말 어눌증(TIA, Transient Ischemic Attack)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렇게 우리가 먹고 마시는 모든 물질은 장내 세균 총을 변화(Dysbiosis)시키게 되어 전신, 특히 모든 관절과 거기에 붙어있는 근육과 인대에 영향을 주게되므로 만성통증의 깊은 원인이 된다. 그래서 식생활습관 즉 Life Style 을 바꾸어야 건강한 삶 속에 건강한 구강상태가 만들어지리라 생각되는데. 그러려면 먼저 식생활을 고지방, 고단백 위주의 서구화된 식생활을 줄이고, 즉석식품 또는 인스턴트 식품, 가공식품 소비량을 억제하여 과도한 스트레스, 불규칙한 생활습관, 운동부족, 흡연, 음주, 항생제 남용(우리나라는 OECD국가 중 항생제 사용 1위)을 자제하며 환경오염에 보다 관심을 두어 후세에까지 건강한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해야겠다. 이런 음식이나 제품들이 개개인에게 맞는지 안 맞는지의 확인검사를 치과의사들도 손쉽게 할 수 있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실제의 약이나 음식을 혀 위에 올려놓고 지표근육을 검사해 보면 판명이 된다. 하지만 혀에 올린 음식이나 약품을 처리하기 번거로우니 배꼽 위에 제품을 올려 놓고 지표근육을 테스트하면 쉽게 알 수 있다.이와 같이 단순 당질(흰쌀, 흰 설탕, 흰 밀가루)과 포화지방의 과도한 섭취, 화학조미료나 인공 첨가물이 많은 음식, 숨겨진 알러지 음식....등은 간과 췌장, 부신의 내장기 삼각 균형을 무너뜨려 과도한 독소를 만들어내고 이러한 독소들이 전신을 돌아다니며 다양한 문제(면역력 저하)를 일으키게 되고, 특히 뇌로 가면 뇌기능 저하의 주 원인이 된다. 부신과 내장기의 기능이 떨어지면 이와 관련된 허리, 골반, 대퇴부 근육이나 인대의 약화를 가져오며 이는 다시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발의 좌우 균형을 무너뜨리고 이는 다시 골반, 척추를 따라 두개골과 턱 관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부신의 불균형은 자율신경계와 내분비 호르몬계의 균형을 무너뜨려 다양한 내장기적인 문제(간, 대장, 소장, 위, 췌장...),자율 신경 장애와 호르몬 분비 관련 문제(인슐린, 갑상선, 성 호르몬....)를 일으키게 되고. 특히 스트레스로 인한 경부 근육(저작근, SCM근육)의 과 긴장은 두개골과 턱관절의 불균형을 야기한다.

KASD | 대한전신치의학연구회

logo
LOG IN 로그인
  • 전신치의학 소개
    • 전신치의학 치료
      • 구조적측면
      • 화학적측면
      • 정신적측면
      • 치아와 근육 - 장기와의 관계
      • 재료의 독성
      • 교합 그리고 장치 디자인
      • 전신 치과의사 란?
    • 응용근신경학 소개
      • Dr. Goodheart
      • 세계의 응용근신경학
      • ICAK로고 설명
      • 응용근신경학 치료
      • 건강의 3요소
      • 두개골의 움직임
      • 구조적균형
      • 응용근신경학 검사
      • 경락요법
      • 두개호흡 기능
      • 근골격계의 균형
      • 영양소와 유해한 화학물질들
      • 피로
    • 연구회소개
      • 구성 및 임원진
    • KASD 진료의 검색
      • 관련사이트
        • 관련회사
      • 게시판
        • 공지사항
        • Q n A

      KASD | 대한전신치의학연구회

      logo
      • 전신치의학 소개
        • 전신치의학 치료
          • 구조적측면
          • 화학적측면
          • 정신적측면
          • 치아와 근육 - 장기와의 관계
          • 재료의 독성
          • 교합 그리고 장치 디자인
          • 전신 치과의사 란?
        • 응용근신경학 소개
          • Dr. Goodheart
          • 세계의 응용근신경학
          • ICAK로고 설명
          • 응용근신경학 치료
          • 건강의 3요소
          • 두개골의 움직임
          • 구조적균형
          • 응용근신경학 검사
          • 경락요법
          • 두개호흡 기능
          • 근골격계의 균형
          • 영양소와 유해한 화학물질들
          • 피로
        • 연구회소개
          • 구성 및 임원진
        • KASD 진료의 검색
          • 관련사이트
            • 관련회사
          • 게시판
            • 공지사항
            • Q n A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KASD | 대한전신치의학연구회

          logo

          KASD | 대한전신치의학연구회

          logo
          • 전신치의학 소개
            • 전신치의학 치료
              • 구조적측면
              • 화학적측면
              • 정신적측면
              • 치아와 근육 - 장기와의 관계
              • 재료의 독성
              • 교합 그리고 장치 디자인
              • 전신 치과의사 란?
            • 응용근신경학 소개
              • Dr. Goodheart
              • 세계의 응용근신경학
              • ICAK로고 설명
              • 응용근신경학 치료
              • 건강의 3요소
              • 두개골의 움직임
              • 구조적균형
              • 응용근신경학 검사
              • 경락요법
              • 두개호흡 기능
              • 근골격계의 균형
              • 영양소와 유해한 화학물질들
              • 피로
            • 연구회소개
              • 구성 및 임원진
            • KASD 진료의 검색
              • 관련사이트
                • 관련회사
              • 게시판
                • 공지사항
                • Q n A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KASD | 대한전신치의학연구회

              logo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상호: 대한 전신 치의학 연구회 | 대표: 김성욱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김성욱 | 전화: 010-5673-6610 | 이메일: kasd-or-kr@naver.com

              주소: 강남구 선릉로 513, 에이팩스 타워 601호 캘리포니아 미형치과 |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

              floating-button-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