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적측면

체내에는 자극에 대응하고자 스스로 변화하게 하는 작용이 있고 그 변화는 자극의 내용 여하를 불문하고 일정하다. 이런 사실에 기초해 Dr. Selye는 스트레스에 대해 ‘일반적인 적응 증후군[General Adaptation Syndrome; GAS]’을 발표했다. 여기서 일반적[General]이란 스트레스 결과가 신체 부위에 영향을 끼친다는 의미이고 적응(Adaptation)이란 스트레스 원인에서 신체를 대처하게 하거나 적응하게 한다는 의미이며, 증후(Syndrome)란 스트레스 결과에 의거해 어떤 반응이 일어난다는 의미이다.스트레스를 경험하면 인체는 생리적으로 원상 복귀하고자 스트레스에 정면으로 투쟁하거나 스트레스에서 도망친다. 다시 말하면,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요인에 대처해 평온한 상태[homeostasis]를 유지하려는 생리적 반응, 즉 ‘전투를 하거나 도피[fight or flight]’하는 반응을 하게 된다. 스트레스가 과도하면 불안을 일으키고 이런 불안은 신체가 떨리는 소위 생리적 불순의 자동 반응을 일으켜 문제 해결을 간접적으로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즉,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불안을 없애고자 하는 동기에만 집착하고, 중대사나 매우 위험한 상태에 처해 있을 때 말을 더듬고 손발이 떨리듯이 감정상, 방어상 대처 행동에 더 많이 역점을 둔다.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가 만병의 근원이라고 막연히 생각은 하지만 스트레스로 인하여 허리가 아프거나 감기에 쉽게 걸리는 등의 직접적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은 잘 모른다. . 스트레스는 감정뇌(변연계)의 기능을 떨어뜨린다. 무의식에 깊이 들어가 있으면서 해결되지 않은 부정적인 정서, 즉 근본적인 스트레스는 감정뇌(Limbic system, 변연계)의 기능을 떨어뜨린다. 감정뇌는 망상체(Reticular formation) 에 연결되어 자율신경과 호르몬의 대사를 조절하고, 중심성 통증조절 기능과 자세조절 기능이 있다. 감정뇌의 기능이 떨어지면. 작은 스트레스에도 다양한 부정적인 감정의 변화로 고통을 느끼게 되고, 자율신경의 기능이 떨어져 장의 기능과 해독능력이 떨어진다. 호르몬 대사의 이상으로 인한 증상과 면역기능이 떨어며. 통증조절 능력이 떨어져 통증을 많이 느끼고 자세가 나빠지고 횡격막의 기능이 떨어져 다양한 증상을 호소한다. 이러한 스트레스를 응용근신경학에선 Dr. Goodheart가 신경감정반사점(Neuroemotional point)인 이마의 돌출된 부분 양쪽에 손울 접촉하고 지표근육을 검사하면 강했던 근육이 약해진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경우 스트레스가 몸에 정서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곳을 의미한다. 그 다음은 대체로 5세이후의 기억나는 사건을 떠올리게 한 후 근육검사를 한다. 이러한 이론에 근거하여 응용근신경학(AK)에서는 스트레스를 떠올리게 한 후 심장의 반사점에 접촉을 하고 근육검사를 하여 지표근육이 떨어지면 그 스트레스는 무의식에 깊이 감추어져 있는 것으로, 꼭 치료해야 하는 것이다. 이런 스트레스는 대부분 하나가 있고 간혹 2개 정도 있다.이것을 AK에서는 “시간선 치료”라는 단순히 경험했던 스트레스를 그 당시의 느낌과 생각으로 그 주변 환경과 인물을 떠올리면서 생각을 하면 되고, 그렇게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적인 맥락을 왔다 갔다 하면서 치료를 하는 단순한 치료이다. 치료자체는 아주 단순해 보이지만, 이 스트레스 치료로 인해서 감정뇌의 이상으로 생겼던 복잡하고 다양한 정서적 변화와 내장, 호르몬, 근 골격 관절, 자가면역반응, 만성대사질환, 퇴행성질환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무의식 속에 깊이 감추어진 해결되지 않은 부정적인 정서는 시간적이고 공간적인 확실한 틀이 있다. 그 틀을 벗어나게 하면 스트레스와 관련된 기억은 있지만 그 스트레스로 인해 생기는 다양한 정서적인 고통(분노, 슬픔, 억울함, 불안, 두려움 등), 신체의 다양한 질환이나 기능이상을 호전 시킬 수 있다 이런 현상들로 수많은 치과 환자들이 치과에 공포감을 갖고 있으며, 이 병원 저 병원을 shopping 하며 헤매고 있다. 또 턱관절과 그 주변의 원인 모를 통증이 계속해서 남아있는 경우들이 많다. 과거에 교통사고를 당했거나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간단히 그 당시의 회상으로 그 부위를 찾아내어 IRT(Injury Recall Technique) 라는 AK적 치료방법으로 치료 할 수 있다. 인간의 뇌(무의식)속에는 5가지의 자아가 존재한다. (A, CP, NP, AC, FC)1. 어른 자아(A) : Adult Ego2. 어버이 자아(P) : Parent Ego - CP(Critical Parent), NP(Nurturing Parent)3. 어린이 자아(C) : Child Ego - AC(Adapted Child), FC(Free Child)어른자아(A)는 이성적이고 현실적이며 사업가적인 속성을 갖고 있으며, 너무 강하면 냉정하고 기계적인 사람이 된다. CP자아는 비판적인 어버이 자아로 항상 원칙과 도덕을 따지며, 야단치거나 비판을 주로 하는 엄부에 해당한다. NP 자아는 양육적인 어버이 자아로 무조건적인 사랑을 베푸는 자모에 해당 한다. 이 자아가 너무 강하면 자신을 돌보지 못하고 희생하게 된다. AC자아는 순응하는 자아로 시키는 대로 고분고분 말을 잘 듣는 어린이 자아로서 이 자아가 너무 강하면 자기주장이 없는 사람이 된다. FC자아는 자유로운 자아로 자기주장이 강하고 상상력이 풍부한 어린이 자아이지만, 너무 강하면 한마디로 천방지축, 마마보이의 전형적인 사람이 된다. 부모나 자식 간에, 학교나 직장에서 이 5가지 자아는 다양한 소통과 충돌을 일으키게 되며, 특히 CP자아(어버이)가 강한 사람과 FC자아(어린이)가 강한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주 충돌되어 어린이 자아가 심한 상처(마음의 구멍)를 입게 된다. 어린이 자아는 어버이 자아에게서 보호와 관심 그리고 사랑을 필요로 하면서 더불어 잔소리, 충고, 비판을 들으면서 성장하게 된다. 그러나 때때로 어버이 자아에게 적절한 사랑이나 관심을 받지 못하면 어린이 자아는 상처를 입게 되고 심할 경우 성인이 되어서도 그 상처가 아물지 않는 상태로 남아 몸에 저장되어 비슷한 상황에 분노하게 되며, 신경학적으로 기능적으로 의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다양한 증상(두통, 어지럼증, 알러지, 통증등)이 나타나게 된다. 인간의 5가지 자아(영혼)의 균형과 조화는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데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무의식은 모든 것을 개인적으로 받아들이고 자기중심적으로 판단하며 합리화하기 위해 본능적으로 반응을 하게 된다. 사람들은 실수로 어떤 일의 결과가 잘못되었을 때, 핑계나 변명을 하면서 스스로를 합리화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일시적으로 체면과 자존심을 지키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부정 에너지가 만들어진다. 이는 자신의 진실 된 모습을 보지 못하고 무의식적으로 지나치게 자기중심적으로 판단한 것이다. 열등감이 있거나 콤플렉스가 있는 사람은 무심코 던진 농담도 자기를 비판하는 소리로 듣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어린 시절에 스스로 감당하기 어려운 충격적인 경험을 하거나 정서적인 부정적 문제를 겪게 될 때 어린이 자아가 상처를 받아 그로 인해 충분한 정서적인 성숙을 이루지 못해 성인이 되어서도 어버이 자아나 어른 자아가 제대로 만들어 지지 않는 마음의 결핍(구멍)이 생기게 된다. 우리는 누구나 크고 작은 마음의 상처를 가질 수 있다. 이 마음의 상처는 무의식적인 차원에서 생기고 저장되기 때문에 이를 인식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 상처를 의식하고 치료를 위해 노력하는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은 잘 모르거나 인식하지 못하고 삶을 살아가는 동안 같은 경험이나 비슷한 경우에 나타나 고통을 받게 된다. 우울증 같은 정신적인 문제가 없는 일반인들도 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는 마음의 상처로 인해서 좀 더 건강하고 행복한, 좀 더 효율적인 삶을 살아가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과거의 부정적인 정서는 뇌, 심장, 폐, 대장...등의 정상 에너지에 심한 간섭을 일으켜 내장기의 기능을 저하 시키게 된다. 부정 에너지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파동은 전신의 에너지 레벨(면역력)을 저하시켜 질병이나 암이 생기는 것이다.의식과 무의식을 빙산에 비유하면, 수면 아래 잠겨있는 부분이 무의식으로서 빙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수면 위의 작은 부분이 의식에 해당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무의식이라고 하면 두려워하거나 조심스러워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선입견은 프로이트의 말 때문이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현실적으로 수용되고 용납될 수가 없는 것들(추한 욕구, 성적 본능..)이 억압되어 저장된 곳으로 꿈과 같은 상징적인 방식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이는 무의식을 너무나 부정적이고 부도덕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무의식의 일부분만을 말한 것이다. 무의식은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생활 속에서 나도 모르게 표현이 된다. 습관적으로, 저절로, 자연스럽게 반응하고 행동하고 말하기도 한다. 숨을 쉬고 식사를 하고 소화가 되고 혈액 순환이 이루어지는 것도 무의식으로 이루어진다. 어쩌면 하루 대부분의 생활이 무의식의 표현이라고 본다. 즉 무의식은 사람의 모든 생리적인 기능을 통제하고 작용하게 하여 생명활동이 이루어지는 컨트롤 타워이며, 최강의 면역력으로 우리의 생존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진정한 건강은 의식과 무의식이 결여 되지 않고 언제나 통합된 상태에서 나타나고 표현이 된다. 친구 간에, 동료 간에, 가정과 직장, 사회생활 속에서 의식과 무의식이 분리가 되어 표출이 되면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 무의식의 감정 상태와 겉으로 표현이 되는 의식의 감정 상태가 다르거나, 이러한 감정의 불일치가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표현이 되면 우리 몸은 극도의 스트레스 상황에 빠지게 되며, 무의식의 통제를 벗어난 의식으로 인해 면역력은 바닥으로 떨어지고, 급기야는 생존을 위한 생명 활동의 저하로 다양한 질병이 생기는 것이다.겉치레하는 인사나 말과 행동들, 무의식의 코드가 잘 맞지 않아 자주 충돌하는 사람, 부모님의 성화에 억지로 하는 공부, 열정과 목표가 없는 삶, 본인의 무의식과 맞지 않는 직업들, 사람을 속이는 거짓말, 이러한 의식과 무의식이 통합 되지 못한 말과 행동들은 우리의 건강을 크게 해치게 된다. 무의식의 심리 상태를 보면 그 사람의 건강이 보인다. 건강은 몸에 좋은 음식을 먹는다고 건강해 지지는 않는다고 보며, 의식과 무의식이 통합된 상태가 되고 유지가 되어야 진정한 건강 상태이다.

KASD | 대한전신치의학연구회

logo
LOG IN 로그인
  • 전신치의학 소개
    • 전신치의학 치료
      • 구조적측면
      • 화학적측면
      • 정신적측면
      • 치아와 근육 - 장기와의 관계
      • 재료의 독성
      • 교합 그리고 장치 디자인
      • 전신 치과의사 란?
    • 응용근신경학 소개
      • Dr. Goodheart
      • 세계의 응용근신경학
      • ICAK로고 설명
      • 응용근신경학 치료
      • 건강의 3요소
      • 두개골의 움직임
      • 구조적균형
      • 응용근신경학 검사
      • 경락요법
      • 두개호흡 기능
      • 근골격계의 균형
      • 영양소와 유해한 화학물질들
      • 피로
    • 연구회소개
      • 구성 및 임원진
    • KASD 진료의 검색
      • 관련사이트
        • 관련회사
      • 게시판
        • 공지사항
        • Q n A

      KASD | 대한전신치의학연구회

      logo
      • 전신치의학 소개
        • 전신치의학 치료
          • 구조적측면
          • 화학적측면
          • 정신적측면
          • 치아와 근육 - 장기와의 관계
          • 재료의 독성
          • 교합 그리고 장치 디자인
          • 전신 치과의사 란?
        • 응용근신경학 소개
          • Dr. Goodheart
          • 세계의 응용근신경학
          • ICAK로고 설명
          • 응용근신경학 치료
          • 건강의 3요소
          • 두개골의 움직임
          • 구조적균형
          • 응용근신경학 검사
          • 경락요법
          • 두개호흡 기능
          • 근골격계의 균형
          • 영양소와 유해한 화학물질들
          • 피로
        • 연구회소개
          • 구성 및 임원진
        • KASD 진료의 검색
          • 관련사이트
            • 관련회사
          • 게시판
            • 공지사항
            • Q n A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KASD | 대한전신치의학연구회

          logo

          KASD | 대한전신치의학연구회

          logo
          • 전신치의학 소개
            • 전신치의학 치료
              • 구조적측면
              • 화학적측면
              • 정신적측면
              • 치아와 근육 - 장기와의 관계
              • 재료의 독성
              • 교합 그리고 장치 디자인
              • 전신 치과의사 란?
            • 응용근신경학 소개
              • Dr. Goodheart
              • 세계의 응용근신경학
              • ICAK로고 설명
              • 응용근신경학 치료
              • 건강의 3요소
              • 두개골의 움직임
              • 구조적균형
              • 응용근신경학 검사
              • 경락요법
              • 두개호흡 기능
              • 근골격계의 균형
              • 영양소와 유해한 화학물질들
              • 피로
            • 연구회소개
              • 구성 및 임원진
            • KASD 진료의 검색
              • 관련사이트
                • 관련회사
              • 게시판
                • 공지사항
                • Q n A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KASD | 대한전신치의학연구회

              logo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상호: 대한 전신 치의학 연구회 | 대표: 김성욱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김성욱 | 전화: 010-5673-6610 | 이메일: kasd-or-kr@naver.com

              주소: 강남구 선릉로 513, 에이팩스 타워 601호 캘리포니아 미형치과 |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

              floating-button-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