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의 독성

치아에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은 전신의 장기에 영향을 주는데 fungus계통은 gliotoxin이, 바이러스계통은 thio-ethers가, 또 수은은 우리 몸 속의 미토콘드리아를 파괴하여 Dr. Tennant는 사람의 70% 는 치아성 감염으로 전신이 아프다고 했습니다. 미토콘드리아는 우리 몸 속의 지방을 분해하여 ATP를 만들어주어 에너지를 생산하는 세포 내 소기관이다. 이는 효소들의 작용에 끊임없이 사용되는 재충전용 밧데리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세포 내 세포전류가 떨어지고, 포화산소가 떨어지면, 몸 속의 미생물들이 인접세포를 포식하고 mycotoxin을 생성시켜 혈류를 따라 다른 곳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즉, 만성 통증, 저산소증, 대사장애,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의 감염 등으로 암이 될 수 도 있다. 그래서 미토콘드리아에 영향을 주는 중금속 등, 구강 내에서 사용되는 치과재료의 독성에 지식이 필요하다아말감은 15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수복물로 50%의 수은과 32% 이내의 은, 14% 이내의 주석, 8% 이내의 구리와 소량의 금속으로 이뤄져 있다. 이렇듯 여기에 사용된 수은의 독성 때문에 대부분의 건강협회와 기관단체협회에서 아말감의 안전성에 대해 주장하였지만 반대론자들은 환자와 치과의사 (특히 치과의사)에게 안전치 못하다는 논문을 많이 제출하였다. 하지만 Life Sciences Research Office에서는 수은증기와 아말감 독성에 대한 서로의 논문들이 독성의 유무에 대한 결론을 내기에는 미흡한 정보를 제공했다고 했다. 하지만 아말감 수복물 제거 직후에 혈액과 소변에서 수은양이 증가하였고, 그 때부터 생긴 건강이상이 그 후에 건강이 회복되었다는 연구도 없었다. 논문에는 임산부에게 아말감을 수복하고 제거한 후, 임산부와 태아에게 어떤 부작용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하였으나 이 논문은 가능하면 임산부에게 아말감의 수복과 제거를 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wikipedia의 내용임) 본인의 경험으로는 아말감 충전된 치아의적인 근육검사에서 음성반응강한 근육의 근육강화을 보인 경우는 한 케이스도 없었으며그 치아와 연관된 장기 역시 모두 양성반응을 보였다 우리가 치과에서 사용하는 재료중 금합금은 100% 순금이 아니므로 거기에 함유되는 금속으로 Precious metal 에는 은, 구리, 팔라디움, 플레티늄, Zn, Sn, 등이 함유되고, Semiprecious metal에는 Pd, Ag, In, Zn, Sn, Co 등이, Nonprecious metal 에는 Co, Cr, Mo, Fe, Ni, 등이 함유되며 그 이외에 Co-Cr alloy, Ni-Cr Alloy, Ti & Ti Alloy, Stainless -Steel 합금들이 있다. 이들 속에 들어있는 유해원소인 Ni, Cd, Be은 합금 전체무게의 0.02%를 초과치 않도록 하였으며, Ni은 0.1% 이상 함유 시엔 정확히 함량을 표시하도록 규정해 놓았습니다. 이중 Be은 PFM에서 세라믹과의 결합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어 사용했으나 안정성의 논란으로 2009년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사용금지 시켰다. Ni은 구강 내에서 부식이 일어나 Ni 이온이 방출되어 신체의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쳐 알러지 반응으로 환자의 피부나 잇몸에 염증 및 발적, 수포등을 일으킬 수 있다. Composite resin은 주로 Matrix로 사용되는 Bis-GMA 나 dimethacrylate monomers (TEGMA, UDMA, HDDMA), 또 filler로 사용되는 silica , 광중합 촉진제인 Camphoroquinone과 유동성을 좋게 하기위한 Dimethylglyoxime 등이 주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dental resin 에 대한 알러지는 매우 낮지만, 대부분의 methacrylate는 Type IV(delayed) 과민반응을 1-2일 후에 보인다.현재 사용하는 레진은 광중합, 혹 자가중합이라 free monomer 가 완전중합이 되지 못하여 생기고 Cu++, Al+++, Fe++ 등이 세포독성을 야기시킨다. 이를 감소 시키기 위해 Resin inlay로 제작하여 압력하 열 중합으로 물성강화와 free monomer를 감소 시킬 수 있다.아말감의 유해성 논란이 일고부터 치아색깔의 충전재로 나온 Glass Ionomer는 불소를 방출하여 2차 우식의 예방효과를 극대화한다고 주장하고 일부 컴파짓트 회사들이 불소방출 레진이라고 선전하느 소수의 Composite resin 과 대다수 Flowable resin, Lining base resin, 또 Pit and Fissure Sealant 들이 불소가 대다수 포함되어있다. 물론 대부분의 Glass Ionomer들은 불소방출을 가장 큰 장점으로 여기는데 특히 liner로 사용되는 경우 이들 불소는 대부분 2년 후, 거의 다 방출되어 pulp를 통해 체내로 흡수된다. 이 불소의 대부분 체외로 배출 되어야 하는데 소변 검사 등으로 계측해 보면 불소함유 소변이 많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상수도 불소화 사업도 처음엔 충치감소 효과로 시작하였으나 이젠 세계적으로 불소의 독성(알러지, Fluorosis teeth 등) 때문에 상수도 불소화 사업은 급감하였다. 이젠 우리도 불소에 대해 특히 불소치약에 대해서도 새로 고려해봐야 할 때이다. AK적으로하는 근육검사에서는 불소가 들어간 모든 치과재료와 치약 등은 양성반응을 보인다. [ Fluorosis Teeth 의 예] 이런 이유들로 우리는 충치를 예방할 목적이나 수복물을 충전시킬때 무슨 재료가 우리 몸에 해를 끼치지는 않는지 또 장기에 어떤 악영향을 미치지는 않는지를 고려한 재료의 선택에 신중함을 보이면 만성 통증과 원인모를 질병에 걸릴 확률을 떨어뜨려 삶의 질을 개선함은 물론이요 의료비에 대한 지출을 상당히 감소시켜 국가 경제에 대한 견고한 디딤돌도 마련하리라 생각된다.보철물의 재료선택에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에게 알러지 반응이 없어야 하는데 Type1은 즉시 과민반응(anaphylactic)으로 즉시 나타나고 Type4 과민반응은 1-2일 뒤에야 나타나는 delayed hypersensitivity 이므로 천천히 일어나는 만성 알러지 반응을 주시하여야 만성질환을 예방 할 수 있다.. 임상에서 임플란트를 많이하게 되면서 Titanium에 대한 사용이 급증하였고, 여러가지 재료들이 개발되고 있다. 아래 도표와 같이 여러 재료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Mechanical properties of commercially pure titanium and its alloys. Adopted from: Lemons, 1990 [5]; Craig, 1993 [6]; Wataha, 1996 [4]; McCracken, 1999 [15]. 임플란트용 메탈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타이타늄은 가장 적은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나 Melisa Test에서 4% 정도의 환자가 과민반응을 보였다. 요즘은 주로 순수Ti을 사용하나 Endopore, NanoTite 같은 임플란트는 Ti alloy인 TiAl6V4 를 사용하여 Ni알러지가 있는 환자들에겐 유사한 알러지 반응을 나타났다. 순수 Ti도 위 도표에서 보듯이 1% 이내의 미량원소들이 있어 금속은 모두 TiO2, ZrO2 가 되어 이온들을 서서히 나오게 되어 완전한 불활성 물질은 없다. TiAl6V4에 있는 Al, V 의 미량원소들의 알러지 반응 때문에 새로운 Ti-Alloy 인 Ti-15Zr-4Nb-2Ta-0.2Pd, Ti-29Nb-13Ta-4.6Zr 들을 사용하여 강도를 올리고 유해성을 줄이려 하고 있으나. 임플란트의 Osseointegration 이 되지 않는 원인 모를 이유들 중 하나로 이 Ti-allergy 반응을 언급하고 있다.이런 원인들로 나온 지르코니아 임플란트는 새로운 가장 과민반응이 적은 임플란트 소재로 대체되리라 생각한다. 현재 한국에서는 수입이 되지 않아 임상에 적용되지 못하는 부분이 아쉽지만 아마도 아직은 파절의 위험도 때문에 허가에 문제가 있지 않나 생각된다. 일반적인 교정 치료기간은 2-3년 정도로 긴 기간 동안 브라켓이나 교정용 철사를 입안에 가지고 있어야 한다. 교정용 브라켓으로 사용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속 Ni의 알러지 반응이 가장 위험스럽다. 치과용 금속 알러지 중 여성의 Ni 알러지가 9-20% 로 피부염(dermatitis)이 가장 높다. 교정환자 중 piercing ear를 가진 환자들 중 30% 는 Ni, Cr, Co 에 과민반응을 보이나 piercing을 하지않은 환자는 단지 1-3% 정도만 유사 과민반응을 보였다.이런 이유들로 Ni이 포함되지 않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대체시킨 금속이 만들어져 있다. 반면 NiTi wire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55Wt%)의 Ni 로 만들어져 있고, 치아이동을 보다 원활히 하기위해 CuNiTi 가 만들어졌으나, 생체적합성 면에서는 CuNiTi 가 가장 독성이 높고, NiTi와 TMA는 약간의 독성, Stainless-Steel이 가장 적은 세포독성을 보였다. 또 Eugenol 함유물과 polyether 인상체도 알러지 위험이 있다.

KASD | 대한전신치의학연구회

logo
LOG IN 로그인
  • 전신치의학 소개
    • 전신치의학 치료
      • 구조적측면
      • 화학적측면
      • 정신적측면
      • 치아와 근육 - 장기와의 관계
      • 재료의 독성
      • 교합 그리고 장치 디자인
      • 전신 치과의사 란?
    • 응용근신경학 소개
      • Dr. Goodheart
      • 세계의 응용근신경학
      • ICAK로고 설명
      • 응용근신경학 치료
      • 건강의 3요소
      • 두개골의 움직임
      • 구조적균형
      • 응용근신경학 검사
      • 경락요법
      • 두개호흡 기능
      • 근골격계의 균형
      • 영양소와 유해한 화학물질들
      • 피로
    • 연구회소개
      • 구성 및 임원진
    • KASD 진료의 검색
      • 관련사이트
        • 관련회사
      • 게시판
        • 공지사항
        • Q n A

      KASD | 대한전신치의학연구회

      logo
      • 전신치의학 소개
        • 전신치의학 치료
          • 구조적측면
          • 화학적측면
          • 정신적측면
          • 치아와 근육 - 장기와의 관계
          • 재료의 독성
          • 교합 그리고 장치 디자인
          • 전신 치과의사 란?
        • 응용근신경학 소개
          • Dr. Goodheart
          • 세계의 응용근신경학
          • ICAK로고 설명
          • 응용근신경학 치료
          • 건강의 3요소
          • 두개골의 움직임
          • 구조적균형
          • 응용근신경학 검사
          • 경락요법
          • 두개호흡 기능
          • 근골격계의 균형
          • 영양소와 유해한 화학물질들
          • 피로
        • 연구회소개
          • 구성 및 임원진
        • KASD 진료의 검색
          • 관련사이트
            • 관련회사
          • 게시판
            • 공지사항
            • Q n A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KASD | 대한전신치의학연구회

          logo

          KASD | 대한전신치의학연구회

          logo
          • 전신치의학 소개
            • 전신치의학 치료
              • 구조적측면
              • 화학적측면
              • 정신적측면
              • 치아와 근육 - 장기와의 관계
              • 재료의 독성
              • 교합 그리고 장치 디자인
              • 전신 치과의사 란?
            • 응용근신경학 소개
              • Dr. Goodheart
              • 세계의 응용근신경학
              • ICAK로고 설명
              • 응용근신경학 치료
              • 건강의 3요소
              • 두개골의 움직임
              • 구조적균형
              • 응용근신경학 검사
              • 경락요법
              • 두개호흡 기능
              • 근골격계의 균형
              • 영양소와 유해한 화학물질들
              • 피로
            • 연구회소개
              • 구성 및 임원진
            • KASD 진료의 검색
              • 관련사이트
                • 관련회사
              • 게시판
                • 공지사항
                • Q n A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KASD | 대한전신치의학연구회

              logo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상호: 대한 전신 치의학 연구회 | 대표: 김성욱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김성욱 | 전화: 010-5673-6610 | 이메일: kasd-or-kr@naver.com

              주소: 강남구 선릉로 513, 에이팩스 타워 601호 캘리포니아 미형치과 |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

              floating-button-img